본문 바로가기
생활배움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 총정리: 2300만 가입자 피해 가능성과 대응 방법

by 겸배 2025. 4. 28.

SK텔레콤에서 발생한 유심 해킹 사태가 2300만 가입자에게 불안감을 주고 있습니다. 2025년 4월 18일 최초 발견된 이 사건은 악성코드를 통해 고객 유심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아직 정확한 피해 규모와 원인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SK텔레콤은 전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 무상 교체를 결정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의 경과와 대응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 경과

SK텔레콤은 2025년 4월 18일 오후 6시 9분, 의도치 않게 사내 시스템 데이터가 움직였다는 사실을 최초로 인지했습니다. 같은 날 오후 11시 20분에는 악성코드를 발견하고 해킹 공격을 받았다는 사실을 내부적으로 확인했습니다. 이후 19일 오전 1시 40분부터 어떤 데이터가 유출되었는지 분석을 시작했고, 같은 날 오후 11시 40분경 해커에 의한 악성코드로 이용자 유심과 관련한 일부 정보가 유출된 정황을 확인했습니다.

SK텔레콤은 유출 가능성을 인지한 후 해당 악성코드를 즉시 삭제하고 해킹 의심 장비를 격리 조치했습니다. 그러나 정보통신망법에 따르면 침해사고 발생을 알게 된 때로부터 24시간 이내에 신고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SK텔레콤은 사건 최초 인지 시점으로부터 약 45시간이 지난 20일 오후 4시 46분에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했습니다.

이러한 지연 보고와 함께, SK텔레콤은 현재까지도 구체적인 해킹 경로나 피해 규모를 특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고객들의 불안이 커지자 SK텔레콤은 25일 유영상 대표이사의 공식 사과와 함께 2300만 명 전체 가입자를 대상으로 유심 무상 교체를 실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유심 교체는 4월 28일 오전 10시부터 시작되며, 이미 자비로 유심을 교체한 고객에게도 비용을 환급해주기로 했습니다.

유심 정보 유출의 위험성과 가능한 피해

유심(USIM)은 가입자 식별 및 통신 인증 정보(IMSI, 인증 키 등)를 담고 있는 핵심 칩입니다. 유심 정보가 유출되면 해커가 이를 이용해 복제폰을 만들거나 본인 확인 과정을 우회하여 다양한 2차 피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우려되는 것은 유심 복제를 통한 금융 사기나 개인정보 도용입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이번 해킹으로 유출된 정보는 유심 관련 일부 정보로, 이름, 주민등록번호, 이메일, 주소, 결제 정보 등 민감한 개인 정보는 유출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그러나 유심 정보만으로도 해커가 복제폰을 만들어 본인 인증을 우회하거나, 금융 앱에 접근할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SK텔레콤 가입자들 사이에서는 불안감이 급속도로 확산되었고,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가 폭증했습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최민희 의원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킹사고 발표 직전 5만 명에 불과했던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 수가 불과 4일 만에 240만 명으로 48배나 급증했습니다. 이는 국민들이 해킹에 따른 2차 피해를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SK텔레콤 유심 해킹 대응 방법

SK텔레콤 가입자라면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유심 무상 교체 신청
    • 일시: 2025년 4월 28일 오전 10시부터
    • 장소: 전국 T월드 매장과 공항 로밍센터
    • 대상: 4월 18일 24시 기준 SK텔레콤 가입자(워치 및 키즈폰 일부 제외)
    • 비용: 무료(이미 자비로 교체한 경우 환급 가능)
  2.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 T월드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가입 가능
    • 비정상 인증 시도를 차단하고 유심 복제를 방지
    • 해외 로밍 이용 및 기기 변경이 불가능해지므로 필요시 해제 필요
  3. 유심 PIN 설정
    • 안드로이드: 설정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기타 보안 설정 > SIM 카드 잠금 설정
    • iOS: 설정 > 셀룰러 또는 모바일 데이터 > SIM PIN
    • 초기 비밀번호는 '0000'이며, 변경하여 사용
  4. 해외 로밍 차단
    • T월드 앱 또는 SK텔레콤 고객센터(080-800-0577)에 문의
    • '해외 로밍 차단 서비스' 신청
  5. 의심스러운 활동 모니터링
    • 휴대폰이 갑자기 먹통이 되거나 "단말기가 변경되었다"는 알림 주의
    • 이상 징후 발견 시 SK텔레콤 고객센터(080-011-6000)로 연락
    • 금융 앱의 비정상 로그인 여부 확인 및 비밀번호 변경

마치며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는 2025년 4월 18일 처음 발견되어 현재까지 진행 중인 심각한 정보 보안 사고입니다. 악성코드를 통해 고객 유심 정보가 유출되었으며, SK텔레콤은 이에 대응하여 2300만 명 전체 가입자를 대상으로 유심 무상 교체를 결정했습니다. 유심 교체는 4월 28일부터 시작되며, 이미 자비로 교체한 고객에게도 비용이 환급됩니다.

 

유심 정보 유출은 복제폰 제작, 금융 사기 등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SK텔레콤 가입자는 유심 교체,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유심 PIN 설정, 해외 로밍 차단, 의심스러운 활동 모니터링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SK텔레콤의 조치 적정성을 점검하라고 지시했으며, 정부는 사고 원인 분석과 국민 불편 해소에 전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