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배움28 봄 절기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봄 절기 하면 입춘대길의 입춘이 제일 먼저 생각나지요. 기나긴 겨울을 지나서 봄이 온다는 것을 생각만 해도 너무 좋습니다. 봄의 절기 역시 6가지가 있고 나름의 이유들이 있으니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입춘 입춘은 24절기 중 하나로, 봄이 시작되는 시기를 가리킵니다. 양력으로는 보통 2월 4일경에 해당하며, 입춘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입춘은 봄의 시작을 상징하며 생명력과 희망, 소생의 미학을 표현하는 절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입춘을 맞아 한 해 동안 행운과 복을 비는 글귀를 써서 대문이나 대들보, 부엌문 등에 붙이는 입춘첩이라는 세시풍속이 있습니다 우수 우수는 한국의 24절기 중 하나로, 입춘 다음에 오는 절기입니다. '우수'라는 단어는 "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뜻을 가지.. 2023. 7. 14. 겨울 절기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겨울 절기 입동을 시작으로 보통 겨울이 시작됩니다. 동지 팥죽으로 유명한 동지도 겨울 절기입니다. 24절기 중 겨울 절기 6가지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입동 입동은 한 해를 24개의 절기로 구분한 가운데 열아홉 번째로, 태양의 황경이 225도가 되는 시점을 말합니다. 입동은 양력으로는 보통 11월 7일경에 해당(23년은 11월 8일)하며, 겨울이 시작되는 날이기도 합니다. 입동이라는 단어는 '겨울이 찾아오고 있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한반도를 비롯한 많은 지역에서 기온이 점차 추워지고, 겨울의 도래를 실감하게 됩니다. 입동을 기준으로 하는 김장이 이때쯤 진행되기도 합니다. 김장은 겨울 동안의 김치를 만들어 저장하는 전통적인 행사로, 입동 전에 대부분 이루어집니다. 소설 소설.. 2023. 7. 12. 가을 절기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가을 절기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것이 입추입니다. 무더운 여름이 끝이 나고 아직은 덥지만 그래도 가을이란 글자가 와주니 말입니다. 입추를 지나 처서와 백로, 추분, 한로, 상강까지 가을 절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입추 입추는 한국의 24절기 중 하나로,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며 양력으로는 8월 8일경에 해당합니다. 입추는 대서와 처서 사이에 위치하며, 태양의 황경이 135도가 될 때 발생합니다. 입추는 가을의 첫 번째 절기로서, 이전에는 만물이 무성하던 것이 성숙해 가는 시기입니다. 입추에는 일출과 일몰 시간이 변화하며, 낮과 밤의 길이도 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여름에서 가을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입추는 자연의 순환과 계절의 이동을 경험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기입니다. 처서 처서는 24절기 중 .. 2023. 7. 11. 여름 절기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여름 절기 시작을 알리는 입하를 비롯하여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의 대략의 뜻을 이해하고, 24절기 중 여름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세월이 많이 급변했기에 절대적인 것보다는 지식의 확장 정도로 여기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입하 입하(立夏)는 24절기 중 일곱 번째로 분류되는 절기입니다. 입하는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위치하며, 이 시기를 기점으로 여름이 시작된다고 합니다. 입하는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를 의미하며, 맥량(麥凉) 또는 맥추(麥秋)라고도 불리기도 합니다. 입하는 양력으로는 5월 5일부터 6일 무렵에 돌아온다고 합니다. 이 시기에는 아직 봄기운이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여겨집니다 소만 소만은 24절기 중 하나로.. 2023. 7. 11.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