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배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중학생인 자녀에게 쉽게 설명해 주기

by 겸배 2025. 5. 17.

올해는 5월 18일,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일어난 지 45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중학생 자녀들이 역사 수업에서 이 중요한 사건을 배우게 되지만, 때로는 교과서만으로는 그 의미와 가치를 충분히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 자녀들에게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배경과 의의를 어떻게 쉽게 설명할 수 있을지, 그 방법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출처: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1980년 5월 18일부터 5월 27일까지 광주와 전라남도 일대에서 일어난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항쟁입니다. 이 운동은 당시 신군부 세력(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군부 세력)의 권력 장악에 맞서 민주주의 회복을 요구하는 시민들의 저항이었습니다.

 

자녀에게 이 사건을 설명할 때는 먼저 그 배경부터 이야기해 주세요.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된 후, 한국 사회는 민주화의 봄을 기대했습니다. 그러나 12월 12일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군 지휘권을 장악했고, 1980년 5월 17일에는 전국으로 비상계엄을 확대했습니다. 이에 맞서 광주 시민들이 민주주의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고, 이것이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시작이었습니다.

 

중학생 자녀에게는 "민주주의란 국민이 주인이 되는 정치 체제인데, 당시 군인들이 무력으로 정권을 잡으려 했고, 이에 맞서 광주 시민들이 '우리가 나라의 주인이다'라는 생각으로 저항했던 사건"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10일간의 항쟁, 어떻게 진행되었나?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전개 과정을 시간 순서대로 설명하면 자녀들이 이해하기 쉽습니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설명해 보세요:

  1. 5월 18일(일요일): 전남대학교 학생들이 계엄 해제와 휴교령 철폐를 요구하며 시위를 시작했습니다. 계엄군(공수부대)이 무자비하게 진압하면서 첫 부상자가 발생했습니다.
  2. 5월 19일(월요일): 대학생 중심이던 시위에 일반 시민과 고등학생들도 합류하기 시작했습니다. 계엄군의 폭력적 진압에 분노한 시민들이 점점 더 많이 거리로 나왔습니다.
  3. 5월 20일(화요일): 시위 규모가 20만 명 이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택시와 버스 운전사들도 차량 시위에 참여했습니다. 계엄군은 시민들을 무차별 구타하고 대검으로 찌르는 등 과격 진압을 자행했습니다.
  4. 5월 21일(수요일): 계엄군의 집단 발포로 많은 시민이 희생되었습니다. 분노한 시민들이 무장하여 시민군을 조직했고, 계엄군은 광주 외곽으로 철수했습니다.
  5. 5월 22일~26일: 광주 시민들은 자치공동체를 형성하여 질서를 유지했습니다. 시민들은 서로 도우며 헌혈하고 주먹밥을 나누었습니다.
  6. 5월 27일(화요일): 새벽, 계엄군이 '상무충정작전'을 펼쳐 전남도청을 무력으로 진압했습니다. 이로써 10일간의 항쟁은 종결되었습니다.

자녀에게 이 과정을 설명할 때는 "처음에는 학생들의 평화로운 시위였는데, 군인들이 폭력적으로 진압하자 더 많은 시민들이 분노해서 참여하게 되었고, 결국 군인들이 총을 쏘면서 많은 사람들이 다치고 돌아가셨어"라고 이야기해 줄 수 있습니다.

5·18의 의미와 가치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의미와 가치를 자녀에게 설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사건이 단순한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이해시켜 주세요.

 

첫째, 5·18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시민들의 용기 있는 저항이었습니다. 당시 광주 시민들은 목숨을 걸고 민주주의라는 가치를 지키기 위해 싸웠습니다. 자녀에게 "민주주의는 그냥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의 희생과 노력으로 지켜지는 것"이라고 설명해 주세요.

 

둘째, 5·18은 한국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이 사건 이후 한국 사회는 민주화에 대한 열망이 더욱 강해졌고, 결국 1987년 6월 민주항쟁으로 이어져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냈습니다. 자녀에게 "5·18은 우리나라가 더 민주적인 나라가 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셋째, 5·18 기간 동안 광주 시민들이 보여준 공동체 정신은 오늘날에도 큰 의미가 있습니다. 경찰과 행정 기능이 마비된 상황에서도 시민들은 서로 돕고 나누며 질서를 유지했습니다. 헌혈과 주먹밥 나눔은 이러한 공동체 정신을 상징합니다. 자녀에게 "어려운 상황에서도 서로 돕고 나누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 사례"라고 이야기해 주세요.

5·18, 어떻게 재평가되었나?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오랫동안 '폭동'이나 '내란'으로 왜곡되었습니다. 그러나 민주화가 진전되면서 점차 그 진실이 밝혀지고 정당한 평가를 받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자녀에게 설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1988년 국회에서 5·18 진상조사가 이루어졌고, 1993년 김영삼 대통령은 "문민정부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연장선상에 있는 정부"라고 선언했습니다. 1996년에는 검찰 수사를 통해 신군부의 쿠데타와 5·18 유혈 진압의 책임이 밝혀졌고, 1997년 대법원은 5·18을 "국민이 헌법을 수호하기 위해 결집한 것"이라고 규정했습니다.

 

자녀에게는 "처음에는 나쁜 사람들이 이 사건을 거짓으로 알렸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진실이 밝혀지고 광주 시민들의 용기와 희생이 올바르게 평가받게 되었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진실은 언젠가는 밝혀진다"는 교훈도 함께 전달하면 좋겠습니다.

마치며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우리 현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시민들의 용기 있는 저항이었습니다.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10일간 광주 시민들은 신군부의 폭력에 맞서 싸웠고, 많은 희생을 치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희생은 헛되지 않았습니다. 5·18은 한국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고, 우리 사회가 더 민주적인 사회로 발전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중학생 자녀에게 5·18을 설명할 때는 단순한 역사적 사실보다는 그 의미와 가치에 중점을 두어 설명해 주세요. 민주주의는 많은 사람들의 희생과 노력으로 지켜진다는 것, 어려운 상황에서도 서로 돕고 나누는 공동체 정신의 중요성, 그리고 진실은 언젠가는 밝혀진다는 교훈을 함께 전달한다면, 자녀들이 5·18을 더 깊이 이해하고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